Chebyshev polynomials
어떻게 체비셰프가 최적근사다항식을 찾을 수 있었는지 보이기 위해서 먼저 체비셰프 다항식에 대해 살펴본다.
본 챕터에선 체피셰프 다항식에 대해 설명하고 몇가지 성질(property)들을 확인한다.
이후 6장에서 이 성질들을 활용하여 실제로 체비셰프 다항식을 통해 최적근사함수를 찾아내는 과정을 설명 한다.
본 챕터는 R. L. Burden and J. Douglas Faires의 저서 Numerical Analysis와 N. L. Carothers의 저서 A short course on approximation theory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.
Definition 2.
n차식 체비셰프 다항식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.
위 식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,
에 대해서 위 방정식을 , 로 치환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.
코사인 덧셈법칙을 이용하여 점화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 과정을 진행하면
위 두 식을 더하면
로 점화식을 세울 수 있다.
이를 통해 체비셰프 다항식을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.
일 경우 의 차항의 계수는 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.
5.1 체비셰프 다항식의 성질
체비셰프는 많은 흥미로운 성질들을 가진다. 본 문서에선 15가지 성질들을 소개한다.
P1
체비셰프 다항식은 구간 에서 가중함수(weight function) 에 대하여 직교(orthogonal) 한다.
Proof.
P2
차수 인 체비셰프 다항식 는 구간 에서 아래와 같은 개의 심플제로(simple zeros)를 갖는다.
심플제로는 중복도(multiplicity)가 1인 근을 말한다. 중복도는 다항방정식이 주어진 점에서 근을 갖는 횟수를 말한다. 예를들어 라 할 때, 의 중복도는 로써 심플제로는 을 갖는다. 그러나 라 할 때 의 중복도는 이므로 심플제로가 아니다.
Proof.
P3
의 극값의 위치와 그 값은
을 만족한다.
Proof.
P4
일계수 체비셰프 다항식(monic Chebyshev polynomials,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다항식)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.
이를 체비셰프 점화식으로 표현하면
Proof. 은 를 로 나눈식이므로 위 식이 성립하게 된다.
P5
의 모든 해는 아래 형태와 같고
의 극점은 아래와 같다.
Proof. 이 또한 은 를 로 나눈식임을 이용하면 간단히 증명할 수 있다.
P 6
을 모든 차 일계수 다항식의 집합이라고 하자.
다항식의 형식이 이고 일 때, 아래와 같은 성질을 갖는다.
위 식은 일 때 만족한다.
Proof.
P 7
Proof. 본래 점화식에 을 대입하면 간단히 증명이 가능하다.
P 8
Proof. 삼각함수 공식 을 이용하여 증명한다.
P 9
Proof.
P 10
Proof.
P 11
인 모든 실수 에 대해 아래 수식이 성립하며,
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해
가 성립한다.
Proof.
P 12
에 대해 가 성립한다.
Proof.
따라서 가 성립한다.
P 13
이 홀수면
이고, 이 짝수면 마지막 항은 가 아닌 다.
Proof.
P 14
과 은 공통근이 존재하지 않는다.
Proof. 귀류법을 활용한다. 과 이 공통근 를 가진다고 하자. 그렇다면 가 성립한다. P7에 의해 가 성립하므로 또한 이 되어야 한다. 이를 반복하면 결국 인 모든 에 대해 가 일때를 포함하여 이 된다. 그러나 이므로 이는 모순이다. 따라서 과 은 공통근이 존재하지 않는다.
P 15
에 대해 와 이 성립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