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 문서에선 본격적으로 현대대수를 공부하기 전에 알아야하는 내용들을 담고있다.
정수와 집합에 대한 성질들을 다룬다.
Definition
에 대해서
•
(최대공약수)
•
(최소공배수)
•
와 는 서로소(relatively prime)*
example
•
•
Theorem (GCD is a linear combination)
이 아닌 정수 와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와 가 존재한다.
또한 는 형태로 만들 수 있는 수 중 가장 작은 양의정수다.
Corollary
만약 와 가 서로소(relatively prime)면 을 만족하는 와 가 존재한다.
example
•
•
lemma (Euclid’s lemma)
만약 가 의 약수인 소수라면 또는 가 로 나누어떨어진다.
example
•
•
반례 그러나 이다. (은 소수가 아니기 때문)
Theorem (Fundamental Theorem of Arithmetic)
보다 큰 모든 정수는 소수거나 소수들의 곱이다.
1.
만약 면, 가 소수고 일 때 가 성립한다.
2.
곱의 형태는 각 인자의 순서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유일(unique)하다.
example
lemma
와 가 양의정수 일 때 가 성립한다.
Proof.
Modular Arithmetic
example
,
Definition
집합 에 대해 동치관계(equivalent relation)* 는 S의 원소를 순서쌍으로 가지고 아래 세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 과 같다.
1.
: reflexive
2.
이면 이다. : symmetric
3.
이고 이면 이다. : transitive
정리하면 equivalent relation은 주어진 집합()안에서 정해진 조건()으로 두 원소를 수행했을 때 reflexive, symmetric, transitive를 모두 만족하는 원소들의 집합()을 말한다.
Definition
가 집합 에서의 동치관계(equivalent relation)이고 일 때,
은 를 포함하는 의 동치류(equivalence class)*이다.
example
(similar; 닮음)
1.
2.
3.
example
(의 원소를 의 계수로 가지는 다항식)
1.
2, 3번 조건은 당연(trivial)하다.
example
ex) .
1.
2.
example
1.
2.
이지만 는 성립함.
Definition
에 대한 파티션(partition)은 합집합(union)이 가 되는 공집합(non empty)이 아니고 서로소(disjoint)인 의 부분집합(subset)들의 모음(collection)이다.
파티션(partition)은 각각 겹치지 않지만 모두 합치면 가 되는 컬렉션을 의미한다.
example
•
는 짝수, 는 홀수
•
반례 는 partition이 아니다. (이 겹치므로 서로소가 아님)
•
Theorem (Equivalence Class Partition)
공집합이 아닌 집합 에 대해
1.
의 동치관계(equivalence relation)에 대한 동치류(equivalence class)는 의 파티션(partition)이 된다.
2.
의 임의의 파티션(partition) 에 대해 동치류(equivalence class)들이 의 원소가 되는 에 대한 동치관계(equivalence relation)가 존재한다.
Proof.
Definition
를 quotient set*이라 한다.
즉, 동치류(equivalence class)들을 원소로 하는 집합을 말한다.
Definition
집합 의 원소 가 집합 의 원소 하나에 할당이 되는 규칙(rule)을
집합 에서 집합 로 가는 함수(function 또는 mapping)*라 한다.
Theorem (Properties of Functions)
함수 가 주어졌을 때, 아래 네가지 성질(properties)을 만족한다.
1.
: 결합법칩(associativity)
2.
가 일대일 함수(1-1)면 또한 일대일 함수다.
3.
가 대응함수(onto)면 또한 대응함수다.
4.
가 일대일 대응함수(1-1 + onto)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.
[참고]
일대일 함수
대응함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