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finition
가 I.D(Integral Domain; 정역) 일 때
1.
만약 에 대해 어떤 unit 가 를 만족하면 이를 associates라 한다.
2.
만약 어떤 non-unit 에 대해 가 성립하는 중 또는 가 unit이면 는 irreducible 이다.
3.
만약 non-unit 에 대해 일 때 가 성립하면 는 prime이다.
remark
1.
in , primeirreducible
2.
in general, primeirreducible (but irreducibleprime)
3.
irreducible element admits only trivial factorization
4.
: prime: prime ideal
이고
여기서 는 제곱 인수가 없는 수 (i.e. )라 할 때,
노름 을 라 정의하자.
이 때 함수은 아래 네가지 성질을 만족한다.
1.
2.
3.
는 unit
4.
가 prime이면 에서 는 irreducible
Example
Example
Theorem 1
I.D에서 prime인 원소는 irreducible하다.
Proof
가 prime일 때 라 하면 위 3번 prime의 정의에 의해 또는 가 성립한다.
어떤 에 대해 이므로 이다.
이며 따라서 가 성립한다.
이에 따라 는 unit이므로 는 irreducible 하다.
Theorem 2
PID에서 primeirreducible 가 성립한다.
Proof
이전 Theorem 1에 의해 성립한다.
irreducible 한 를 잡고 라 하자.
또는 가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.
: ideal
에 대해 가 성립한다. 따라서 가 성립한다.
는 PID이므로
이므로 어떤 에 대해 이 성립한다.
가 irreducible 이므로 정의에 의해 또는 가 unit이다.
만약 가 unit이면, 가 성립한다. 이므로 가 성립한다. 따라서 명제는 참이다.
만약 이 unit이면, 다. 이 때, 이고() 또한 이므로 이들을 연산한 가 성립한다.
가 성립하므로 은 참이다. 따라서 명제는 참이다.
Example
는 PID가 아니다.
이라 하면 가 와 로 제네릭한 함수가 된다.
PID는 원소 하나로 제네릭한 형태여야 하므로 어떤 에 대해 가 성립해야 한다.
와 가 를 제네릭 하여 만들어져야 하므로 와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가 성립한다.
먼저 를 이용한다.
의 차수는 이고 가 와 의 곱이므로 가 성립한다.
차수는 보다 크거나 같은수이므로 가 되며 따라서 가 된다. 즉, 의 차수와 의 차수 모두 이므로 둘 다 상수 함수임을 의미한다.
와 모두 상수함수 이므로 는 어떤 값을 넣어도 값이 가 된다. 이를 풀면
가 성립하게 된다.
그러나 가 이면 이므로 이기 때문에 가 된다.
이어서 를 이용하면,
이고 이를 만족하려면 이기 때문에 모순이다.
따라서 는 PID가 아니다.
Definition
: domain
아래 조건을 만족할 때, 를 unique factorization domain(UFD)라 한다.
1.
non-unit
for : irreducible
2.
this factorization is unique up to associates & reordering
원소의 유한한 인수분해가 존재한다는 것은 주어진 원소가 유한한 수의 기약원의 곱으로 나타낸다는 의미이다.
Theorem
PID UFD
Proof
non-unit 라 할 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