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전(inversion)변환은 어떤 원에 대해 대칭인 점으로 보내는 방법을 말한다. 이 변환은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변환을 시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, 본 섹션에선 이 내용에 관한 기초를 다룬다.
어떤 가 반지름이 이고 중심이 인 원이라고 하자. 원 에 대한 반전(inversion)변환은 가 아닌 점 를 다음과 같이 정의된 로 보내는 변환을 말한다.
먼저 부터 시작하고 를 지나는 선(ray)를 만든다. 이 때, 를 이 선 위를 지나고 아래 방정식을 만족하는 유일점(unique point)라 하자.
이 때 점 를 에서 에 대한 대칭점(symmetric point)이라고 한다.
중심이 인 원에 대한 반전(inversion)은 을 제외한 모든 복소수(complex number)로 구성된 집합 에서의 변환(transformation)이다. 원 에 대한 반전(inversion)변환은 로 표기한다. 다음 섹션에선 이 변환에 대해 중심점 을 포함하는 변환으로 확장할 수 있는지 살펴볼것이다.
아래 Exercise들을 통해 반전(inversion)변환에 대한 몇가지 특징들을 살펴보자. 이 과정에서 컴파스(compass)와 자(ruler)를 이용해서 어떻게 대칭점(symmetric point)를 만들 수 있는지도 볼 것이다.
는 원 의 모든점은 고정(fixes)하고, 원 내부점들은 원 바깥의 다른 원으로 대응(mapping)하며 이에 대한 역도 성립한다(원 바깥의 점은 원 내부로 매핑함). 또한 가 원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는 원으로 부터 멀어진다.
Example 3.2.1 Inversion in the unit circle
에서 단위원(unit circle)은 중심이 이고 반지름 인 원을 말하고 로 표기한다. 에 대해 이 아닌 점 의 대칭점(symmetric) 은 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은 방정식이 성립한다.
또한 와 가 모두 원점을 지나는 직선위에 있다면 은 의 크기만 키운 버전이 된다. 이땐 가 양의 실수(positive real number)일 때 를 만족한다. 이를 대칭점(symmetric point) 방정식에 넣으면 이 되고 정리하면 가 된다. 따라서 가 된다. 또한 이므로 단위원 에 대한 반전(inverse)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.
아래 공식은 임의의 원(arbitary circle)에 대한 반전(inversion)변환에 대한 식이며 몇개의 일반선형변환(general linear transformation)을 통해 단위원(unit circle)에서의 반전(inversion)변환의 결합으로 구할 수 있다.
Inversion in the circle centered at with radius
중심이 이고 반지름이 인 원 에서 반전(inversion)변환은 아래와 같다.
Example 3.2.2 Inverting some figures in a circle
아래 그림과 같이 을 중심으로 하는 원 에 대해 원이나 M문자나 작은 표(grid)를 반전변환하였다. 변환된 이미지들은 마치 또 다른 원 처럼 보이며 이것에 대해 증명할 것이다. 또한 원 C의 중심과 교점이 없는 직선(line)은 원으로 반전(inversion)변환 된다는 것도 보일것이다. 이에 따라 문자 M의 선분들은 원들의 호들(arcs of circles)에 매핑이 될 것이다.
Definition 3.2.3
클레인(cline)은 유클리디안 원 또는 직선을 말한다. 모든 클레인(cline)은 아래와 같은 형태의 대수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.
여기서 는 복소변수(complex variable)이고, 는 복소상수(complex constant), 는 실수다. 만약 이면 방정식은 직선을 표현하고 만약 이고 면 방정식은 원(circle)을 표현한다.
클레인(cline)이란 단어로 부터 직선(line)과 원(circle)은 클레인 클래스(cline class)라는 같은 일반클래스로부터 다르게 발현된것으로 이해하기 시작해야 한다.
이고 라하면 클레인 방정식(cline equation) 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.
위 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
만약 이라면 직선의 방정식이고, 이면 면 원의 방정식이다. 이를 보이기 위해 식을 아래와 같이 전개하였다.
이므로 우항은 반지름의 제곱이 된다.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.
The cline equation
이고 로 주어졌을 때, 이라면 클레인 방정식(cline equation)은 아래와 같고
중심이 이고 반지름이 이면 아래와 같다.
이 때 이고 만약 이면 클레인 방정식은 직선이 된다.
Theorem 3.2.4
에서 세개의 다른점을 지나는 클레인은 유일하게 존재한다.
가 서로다른 복소수(complex number)라고 하자. 만약 가 와 를 지나는 직선위의 점이고 이 직선이 이 세 점을 지나는 유일한 클레인(unique cline)이라고 하자. 세개의 점이 단일직선(single line)위에 있지 않기 때문에 세 점을 지나는 원을 아래와 같이 그릴 수 있다. 여기서 선분(segment) 의 수직이등분선과 선분(segment) 의 수직이등분선을 그려보자. 세 점이 같은 직선위의 점이 아니므로 각 수직이등분선은 반드시 만날것이다. 만약 이 교점을 이라 하면, 을 중심으로 하고 를 지나는 원은 세점을 지나는 유일한 클레인(cline)이 될 것이다.
Theorem 3.2.6
원에서 반전(inversion)변환은 클레인을 클레인으로 매핑한다. 특히 만약 클레인이 반전(inversion)변환된 원의 중심을 지난다면, 해당 클레인은 직선으로 사상(image)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원으로 사상될 것이다.
Proof.
만약 두 클레인이 직각(right angle)으로 교차한다면 이를 직교(orthogonal)한다고 한다. 예를들어, 어떤 직선이 원에 수직하다(orthogonal)하다는 명제의 필요충분조건은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난다이다(교점의 접선과의 직선의 각을 잰다). 에서의 반전(inversion)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에 수직한(orthogonal)한 클레인은 그들 스스로 반전(inversion)된 것과 같다는 것이다. 이에 대한 증명은 생략한다.
Lemma 3.2.7
반지름이 이고 중심이 인 원 가 있고 가 원 밖에 있는 점이라고 하자. 이 때 라 하자. 만약 를 지나고 원 와 과 에서 만나는 어떤 직선에 대해 아래 식이 성립한다.
Proof.
Theorem 3.2.8
원 가 중심이 고 위의 점이 아닌 가 이 성립한다고 하자. 를 지나는 어떤 클레인이 에 수직하다(orthogonal)는것과 클레인이 에서 의 대칭점 를 지난다는 것은 필요충분조건이다.
Proof.
Corollary 3.2.9
에 대한 반전(inversion)변환은 클레인(cline)이 에 대해 스스로 직교(orthogonal)하도록 변환한다.
Theorem 3.2.10
클레인(cline)에서 반전(inversion)변환을 해도 각의 크기(angle magnitude)는 보존된다.
Theorem 3.2.12 Inversion preserves symmetry points
를 클레인(cline) 에서 반전(inversion)변환이라 하자. 만약 와 가 클레인 에 대해 대칭관계(symmetric)라면 와 또한 에 대해 대칭관계이다.
Proof.
Theorem 3.2.14 Apollonian Circles Theorem
와 가 에서 서로 다른 점이고 가 양의 실수라 하자. 의 모든 점 가 위의 점이고 를 만족하면 는 클레인(cline)이다.
Proof.
Theorem 3.2.16
교점이 없고 적어도 둘 중 하나는 원인 두 클레인(cline)이 있다고 하자. 이 때 두 클레인에 대칭( symmetric)인 두 점 와 가 반드시 존재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