로 주어진 원 에 대한 반전(inversion)변환에 대해 고려해보면 에 가까운 점은 로 부터 가장 먼 평면위의 점으로 매핑된다. 사실, 리미트(limit)가 인 위의 연속점들은 크기가 로 가까워지는 점들로 반전변환된다. 역으로 크기가 로 가는 점들은 리미트가 인 점들로 반전되게 된다.
이를 염두에 두고 무한원점(the point at infinity)을 정의하고 라 표기한다.
또한 이 새로운점을 평면에 연결하여 라 하는 확장평면(extended plane)을 얻는다.
그 후, 와 를 포함하도록 원 에서 반전변환을 확장할 수 있다. 특히, 중심이 이고 반지름이 인 원 에서 의 반전변환 는 아래와 같다.
확장평면의 반전변환에 대해 과 는 원의 반전에 대해 대칭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.
공간 는 본 책의 모든 기하에서 사전정의된 공간이며 를 고려해야할 어떤 점으로 생각해야한다. 모든 평행이동, 팽창, 그리고 회전은 점 를 포함하도록 재정의 된다.
그렇다면 에서 는 어디있을까? 는 복소평면에서 어떤 선의 방향에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접근할 수 있다. 더 일반적으로, 만약 이 에 대해 인 복소수열이라 하면 라 할 수 있다.
우린 를 확장평면에서 모든 선 위에 있다고 추정하며 임의의 선에 대해 반사시키면 로 고정된다.
Theorem 3.3.1
도메인 에 확장되는 임의의 선형변환은 를 고정한다.
Proof.
따라서 새로운 도메인 에서 기본변환을 위한 고정점(fixed point)를 수정한다.
•
의 평행이동 는 한 점()으로 고정된다.
•
의 원점 에 대한 회전변환은 두 점으로 고정된다(과 )
•
의 확장변환 은 두 점으로 고정된다(과 )
•
직선 에 대한 의 반사변환 은 위의 모든 점으로 고정된다(이제 를 포함한다).
Example 3.3.2 Some transformations not fixing .
에서 아래 변환은 를 고정하지 않는다.
가 로 보내는 점과 가 를 어디로 보내는지 확인한다.
먼저 로 보내는 점은 분모를 0으로 보내야하므로 가 된다.
는 분모가 로 가므로 이 된다.
만약 T(z)가 아래와 같다면,
이고 이다.
이전 챕터에서 살펴본 의 확장에 대한 몇가지 결과를 다시 확인한다.
•
에서 서로 다른 임의의 세개의 점을 지나는 클레인은 유일하게 존재한다
•
•
클레인에 대해 반전변환(inversion)은 의 모든 점들의 각도의 크기를 보존한다.
•
반전변환은 위의 모든 대칭점을 유지한다.
•
스테레오 사영(Stereographic Projection)
Definition 3.3.3
unit 2-sphere는 라 하고 3차원 공간에서 원점으로부터 1만큼 떨어진 모든 원들의 집합이다.
unit 2-sphere는 보통 간단하게 “구(sphere)”라고 부른다. 확장평면에 대응(onto)되는 구의 스테레오 사영(Stereographic projection)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. 구의 북쪽 축을 이라 하자. 구 위의 모든 점 에 대해 는 평면에 있는 직선 위의 점이다.
스테레오 사영(Stereographic projection)은 대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. 과 를 지나는 직선은 방향벡터 로 표현하고 아래와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
평면과 직선의 교점은 가 일때 이다. 이는 일 때 에 대응되는 점이다.
따라서 인 구 위의 점 에 대한 스테레오 사영 는 아래와 같다.
이에 따라 는 을 로 보낸다. 또한 에 가까워지는 위의 연속점들은 크기가 에 가까워지는 의 투영점(image)이 될 것이다.
에서 각도(angles)
만약 를 단순히 위의 또다른 점이라고 하면 우리는 해당 점에서의 각도에 대해 논할 수 있다. 가령 에 임의의 두 직선의 교점이 있다면 에서 교점의 각도에 대한 질문이 있을 수 있다. 우리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을 다음의 정리에 의하여 스테레오 사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.
Theorem 3.3.5
스테레오 사영은 각도를 보존한다. 만약 구 위에 있는 두 곡선이 각도 로 교차하면 이들이 에 사영되도 교점의 각도는 이다.
따라서 에 있고 에서 교차하는 두 곡선의 각도는 스테레오 사영 연산에 대한 프리이미지(pre-image)에서 각도와 같다. 에서 두 평행직선의 각도는 0이다.
또한 만약 두 직선이 유한점 뿐만 아니라 에서도 교차한다면 에서 교차하는 각도는 에서 교점의 각도의 음의각도(negative)와 같다. 결론적으로 원에 대한 반전변환은 위의 모든 점에 대해 각도의 크기를 보존한다.